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 목적: 3D reconstruction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AI 기반 서비스를 발굴하는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주요 활동: 아이디어 검증을 위한 프리토타입핑을 진행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하며, 서비스 기능 개발 및 개선을 추진했습니다.
3Dpresso 아이디어 발굴 후 런칭: 3Dpresso는 리콘랩스의 AI 기술을 활용한 3D 크리에이터 전용 서비스로, 사용자 니즈를 기반으로 프리토타입핑(Pretotyping)을 통해 발굴된 후 정식으로 런칭되었습니다.
성과: 런칭 후 3개월 만에 1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DAU가 120% 상승했으며, 사용자 중심의 바이럴 마케팅을 통해 인지도를 확대했습니다.
문제 정의 및 배경
문제 정의:
기존 플리카 서비스의 매출 부진으로, 리콘랩스는 3D reconstruction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AI 기반 서비스 개발이 필요했습니다.
신기술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개발팀이 빠르게 제품을 제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아이디어를 신속히 검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제품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접근이 필요했습니다.
역할과 책임:
신규 제품 개발의 프로덕트 전반을 총괄하고, 기획부터 디자인까지 이끌었습니다.
프로덕트 팀을 매니징하고, 개발팀과 메인으로 커뮤니케이션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방법 - PMF 테스트 선정 아이템:
여러 차례의 PMF 아이디어가 진행되었습니다. 그 중 두 번째로 선정되었던 ‘15분 만에 영상을 3D 에셋으로 변환할 수 있는 서비스’는 4일간의 테스트 광고 결과, 132건의 사전 예약 이메일을 확보하며 약 17%의 전환율(CVR)을 기록했습니다.
이를 통해 3D 콘텐츠 제작 전문가들이 리콘랩스의 ‘15분 내 3D 모델 생성’ 서비스가 니즈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베타 서비스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3Dpresso MVP 개발 및 출시
PMF 레이드 결과를 기반으로 3Dpresso MVP 서비스를 개발하였습니다.
Amplitude를 통해 주요 지표들을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구성해 기능 추이를 확인하였습니다.
3Dpresso 런칭 이후 주요 이벤트
3Dpresso를 운영하던 중 고긱 유입이 증가하는 주요한 2개의 이벤트가 있었습니다. 이런 이벤트들을 활용하여 유입고객의 수를 증가시키고, 신규 고객을 위한 운영정책과 기능들을 추가하며 서비스를 개선시켰습니다.
유튜브 크리에이터 ‘Cory’ 서비스 리뷰 후 바이럴:
Cory라는 3D 애니메이션 제작자가 3Dpresso 서비스를 리뷰하며, 기존에 사용하던 고가의 3D 스캐너보다 우수하다는 평가를 유튜브에 올렸습니다.
이 영상이 링크드인에서 빠르게 확산되며 DAU가 120% 증가했습니다. 이후 Cory와 같은 사용자들을 3Dpresso 공식 홍보대사 임명하여 서비스의 인지도를 높였습니다.
성과
프리토타입핑을 통해 3Dpresso 서비스 아이템을 발굴하고 성공적으로 런칭하였습니다.
런칭 후 3개월 동안 1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팬 중심의 바이럴 마케팅을 통해 DAU가 120% 상승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