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오늘 예쁜것 같아?” 라고 물어보았지만, 로봇이 고개를 끄덕이는 반응 속도가 늦다.
Sohn, B., Yoon, J., Woo, J., Kwak, S, Kim, M., “Am I Pretty? The Intention of a Social Robot by Delayed Nod”, RSS 2011 Workshop on human-robot interaction. ACM. (Best paper award)
"나 오늘 꾸미고 나왔는데 나 예뻐?" 여자가 로봇에게 묻는다. 로봇은 한참 뒤에야 고개를 끄덕인다. 이 로봇이 똑똑해 보이는가? 사람들은 거짓말을 하는 로봇을 지능이 높다고 여긴다. 그리고 고개 끄덕임은 대답으로 부터 고개를 끄덕일 때 까지의 딜레이가 커질수록 부정적인 의미를 담는다. 이 두가지 복합적인 상황이 로봇과 사람 사이에서 일어날 때 로봇이 얼마나 똑똑하게 느껴지는지를 평가하였다.

리스트 선택 방식의 사용성 평가 및 제안
Kim, C., Woo, J., Lim, Y., “Usability evaluation and suggestion of list selection methods”, Korea HCI conference. 2012. (Jan, 11~13, 2012.)
리스트 선택 방식은 소형 터치스크린 기기를 통해 음악 목록에서 특정 음악을 선택하거나 전화번호부에서 특정인을 선택하는 등의 행위이다. 이는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터치스크린 기기의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리스트 선택 방식의 장단점을 확인하기 위해 네 가지 형태의 리스트 선택 인터페이스(Pinch to zoom, Wheel navigation, Scroll bar, Land mark)를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