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페토 x 3Dpresso 협력 이벤트를 통한 전월대비 가입자 71% 증가
프로젝트 개요
- 목표: 네이버Z 제페토 10대 사용자 대상 생성형 AI 활용 크리에이터 생태계 확장 (2023.07-08)
- 역할: 리콘랩스 제품 리드로서 제페토 파트너십 관리 및 AI 기반 3D 아이템 생성 솔루션 기획·개발
- 솔루션: 클릭 기반 직관적 UI, 지능형 콘텐츠 필터링, 제페토 스튜디오 등록 프로세스 자동화
- 성과: 3Dpresso 가입자 71% 증가, 이벤트 참여자 52% 신규 크리에이터 전환, 다수 언론 보도
배경 및 역할
Zepeto는 네이버Z에서 운영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특히 10대 사용자 층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었습니다. 플랫폼이 성장하면서 크리에이터 생태계를 더욱 확장하고자 생성형 AI를 활용한 새로운 이벤트를 기획하게 되었고, 더 많은 신규 크리에이터를 유치하기 위한 사용자 경험 개선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저는 리콘랩스의 제품 리드로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다음과 같은 핵심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 Zepeto와의 협력 커뮤니케이션 주도 및 파트너십 관리
- 프로덕트팀과 개발팀 간의 조율을 통한 프로젝트 전체 리드
-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기술적 솔루션으로 변환하는 브릿지 역할
- 사용자 중심의 제품 전략 수립 및 우선순위 결정
문제 정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세 가지 핵심 문제를 식별했습니다.
사용 편의성 문제
Zepeto의 주 사용자층이 비교적 어린 나이대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AI 콘텐츠 생성 방식은 복잡한 프롬프트 입력을 요구해 진입장벽이 높았습니다. 이러한 사용자들에게는 더 직관적이고 간단한 방식이 필요했습니다.
유해 콘텐츠 위험
생성형 AI가 청소년에게 유해한 콘텐츠를 생성할 가능성이 있어 이를 사전에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반드시 필요했습니다. 플랫폼의 특성상 청소년 보호는 타협할 수 없는 핵심 요소였습니다.
복잡한 콘텐츠 등록 절차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를 Zepeto 스튜디오에 등록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실제 크리에이터로의 전환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이 부분의 개선 없이는 참여만 높고 실제 전환은 낮은 결과를 얻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해결 방법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한 통합적 접근 방식을 수립했습니다.
직관적 인터페이스 설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UX 개선을 통해 사용자들이 복잡한 텍스트 입력 없이 간단한 클릭만으로 AI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설계했습니다. 이를 통해 기술적 복잡성을 완전히 숨기고 창작의 즐거움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안전장치 구축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프롬프트 필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유해 콘텐츠가 생성되지 않도록 사전 차단 메커니즘을 도입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키워드 필터링을 넘어서 맥락을 이해하는 지능형 필터링 시스템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워크플로우 간소화
콘텐츠 등록 절차를 대폭 간소화하여 사용자가 만든 아이템을 Zepeto 스튜디오에 쉽게 등록할 수 있도록 워크플로우를 재설계했습니다. 동시에 신규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상세한 사용자 가이드를 제공하여 온보딩 과정에서의 이탈을 최소화했습니다.
결과
Top Designer Contest 성공적 운영
2023년 7월부터 8월까지 한국과 북미 사용자를 대상으로 "Top Designer Contest"라는 이름의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했습니다. 이번 이벤트는 신규 크리에이터 발굴을 목표로 하여 사용자들이 생성형 AI를 활용해 독창적인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사용자 경험 개선 효과
이벤트 참여자들은 우리가 설계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손쉽게 AI 기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었고, 안전장치를 통해 걱정 없이 창작 활동에 몰입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간소화된 등록 절차 덕분에 많은 참여자들이 실제로 크리에이터로 전환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성과
핵심 비즈니스 성과
프로젝트의 비즈니스 임팩트는 기대를 크게 상회했습니다. Zepeto와의 협업을 통해 3Dpresso의 가입자가 71% 증가하는 놀라운 성장을 달성했으며, 더욱 의미 있는 것은 이벤트 참여자의 50% 이상이 신규 크리에이터로 등록했다는 점입니다. 이는 단순한 참여를 넘어 실제 생태계 확장으로 이어지는 성공적인 전환을 의미합니다.
제품 및 사용자 경험 성과
UX 개선과 프롬프트 필터링 시스템 도입으로 사용자 만족도가 크게 상승했으며, 안전하고 접근하기 쉬운 AI 창작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Zepeto의 크리에이터 생태계 확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언론의 주목을 받아 관련 기사로도 소개되었습니다.
관련기사
매일경제 네이버제트 제페토 “생성형 AI로 누구나 아이템 만들 수 있어요” - 매일경제
김동원 기자 메타버스 ‘제페토’에서 AI로 아이템 제작 가능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