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 Splash
Color splash는 대구를 상징하는 4가지 색상과 활력 넘치는 도시의 이미지를 관객참여형 인터랙티브 미디어 파사드의 형태로 표현한 작품이다. 4가지의 대구의 키칼라를 상징하는 4개의 트램폴린을 관객들이 뛰면 그에 맞게 미디어 파사드가 색상으로 채워진다.
Color splash is interactive media façade that represents dynamic and energetic city characteristic of the Daegu with trampolines. Each of four trampolines represents four key colors of Daegu. When the participant jump on the trampoline the façade filled with the color particles.- Trampoline, Distance sensor, LED Strap, Processing, Unity, Arduino
Deagu Media Facade Festival 2015, Daegu
Jong-bum Woo(PM), Seungki Kim, Eunjin Kim, Hyunbum Lee, Hungkyun Park, and Richard Park < .Raw -Interactive media design group in KAIST>
Integral media dmedia (2015)
미래의 미디어는 어떤 모습일까? 이 작품은 Aerial LED display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의 미디어를 이용하여 미래의 미디어를 표현하였다.
What is the shape of the future media. Integral media dmedia express the shape of future media through the current media by using aerial LED display technology.- Half-mirror, Retroreflective sheet, Arduino, NEO pixel, distance sensor, servo, piezo, profile.
IS gallery, Seoul
Jong-bum Woo, Richard Park
Phantom Pendulum (2014)
허공에 빛 한줌이 떠 있다. 잡으려고 해도 잡히지 않고 도망가버리는 허상. 물리학과 세미나에서 배운 허공 LED 디스플레이를 통해 관객과 인터랙션하는 미디어 아트 작품.
Half-mirror, Retroreflective sheet, - Arduino, distance sensor, servo, profile, acryl
Morris Gallery, Daejeon. KAIST, Daejeon. Art Free Market Festa, Daejeon.
Jong-bum Woo, Richard Park
Carillon 2012 (2012)
카이스트의 상징물인 까리옹(Carillon)을 재해석하여 Media façade 형식으로 Carillon 2012를 제작하였다. Carillon의 파랑, 빨강, 녹색이 상징하는 개념, 실체, 조화를 음악과 영상으로 표현하였다. 2012년 카이스트 온가족의 밤에서 공연되었다.
Carillon 2012 is the media facade work by reinterpreting the Carillon: the symbol statue of the KAIST. Color symbols in the Carillon: blue (concept), red (manifestation), green (harmony) are represented in music and video. It performed at ‘KAIST Night 2012’.- Styrofoam Box with projection mapping
Wonjun Lee(PM), Juhwan Kim, Jongbum Woo,, Hungkyung Park, Jungso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