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presso 촬영 앱 고도화 프로젝트
프로젝트 개요
3D 콘텐츠 제작 경험의 근본적인 개선을 목표로, 사용자 페인포인트를 분석하고 혁신적인 촬영 앱을 개발했습니다. 문제점 심층 분석을 통해 핵심 기능을 재설계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결과, 촬영 실패율을 50% 감소시키고 서비스 팬 층을 10배로 확장하는 뛰어난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이를 통해 3Dpresso의 사용자 경험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고 서비스의 성장 모멘텀을 확보했습니다.
역할과 책임 : 신규 제품 개발의 프로덕트 전반을 총괄하고, 기획부터 디자인까지 이끌었습니다. 프로덕트 팀을 매니징하고, 개발팀과 메인으로 커뮤니케이션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문제 정의
3Dpresso는 'Fan'을 3개월 동안 3회 이상 영상을 업로드한 고객으로 정의하고, Fan 수 증가를 핵심 KPI로 설정했습니다. 고객 행동 분석 결과, 첫 사용 후 재방문하지 않는 고객의 80%가 초기 영상 업로드 시 만족스러운 3D 모델을 생성하지 못했다는 중요한 인사이트를 발견했습니다. 이는 고객의 서비스 재사용 의지를 크게 저하시키는 핵심 문제로, 서비스의 초기 사용자 경험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방법
10명의 첫 사용자를 대상으로 각 30분간 심층 테스트와 인터뷰를 진행하여 초기 사용 경험의 핵심 문제점을 발견했습니다. 이 조사를 통해 다음 3가지 해결 방안을 도출했습니다:
- 상세 촬영 가이드 제공: 기존의 결과물 중심 접근에서 벗어나, 실제 촬영 과정과 자세를 시각적으로 가이드하는 간단한 촬영 장면을 추가하여 사용자 이해도를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 촬영 가이드 세미나 영상 제공: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웨비나를 통한 상세 설명과 실시간 질의응답으로 고객의 궁금증을 직접 해소했습니다.
- 전용 촬영앱 개발: 기존 기본 카메라앱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시간 피드백 기능을 탑재한 맞춤형 촬영앱을 제작하여 사용자의 촬영 실패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감소시켰습니다.
결과
전용 촬영앱 성공적 개발 및 배포
10명 심층 인터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간 피드백 기능을 탑재한 아이폰용 전용 촬영앱을 성공적으로 개발했습니다. 2주간 TestFlight를 통해 360명의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여 앱의 안정성과 사용성을 충분히 검증했습니다.
사용자 온보딩 체계 완성
촬영앱과 함께 상세 촬영 가이드와 웨비나 교육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3D 콘텐츠 제작 성공률을 높이는 통합적 지원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특히 실제 촬영 과정과 자세를 시각적으로 가이드하는 콘텐츠를 통해 초기 사용자들의 학습 곡선을 대폭 단축시켰습니다.
정식 서비스 출시 완료
베타 테스트 결과를 반영하여 3Dpresso 촬영앱을 정식 출시했으며, 기존 서비스와 연동된 완전한 3D 콘텐츠 제작 워크플로우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성과
사용자 경험 근본적 개선 및 실패율 획기적 감소
데이터 기반 문제 진단을 통해 첫 사용 후 재방문하지 않는 고객의 80%가 초기 촬영 실패에서 기인함을 발견했습니다. 전용 촬영앱을 통해 촬영 실패율을 44%에서 22%로 50% 감소시켜 사용자의 초기 성공 경험을 보장하고 서비스 재사용률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핵심 KPI 폭발적 성장 달성
촬영앱 정식 출시 후 3Dpresso Fan 수 10배 증가를 달성하며 서비스의 핵심 지표에서 폭발적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Fan'을 3개월간 3회 이상 업로드 고객으로 정의한 KPI 관리를 통해 달성한 정량적 성과로, 사용자 충성도와 서비스 지속 사용률을 동시에 향상시킨 의미 있는 결과였습니다.
제품 완성도 및 시장 검증 확보
체계적인 베타 테스트와 사용자 피드백 반영 프로세스를 통해 제품의 시장 적합성을 사전 검증하고, 사용자 온보딩부터 성공적인 3D 콘텐츠 제작까지의 전체 여정을 최적화하여 서비스의 전반적인 품질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